본문 바로가기
이건음악회 Talk Talk/홍승찬교수의 클래식 톡톡

[홍승찬 교수의 클래식 이야기] 삶의 반전, 삶을 휴식과도 같은 인터메초 이야기. 연극이나 오페라를 공연할 때 막과 막 사이에 가벼운 여흥.

by 블로그신 2015. 9. 22.

 

 

사람들이 여럿 모여서 무엇인가를 하다가 불현듯 누군가가 “잠시 막간을 이용해서....”라는 말로 분위기를 바꾸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서로 말이 꼬여서 실마리가 풀리지 않을 때 그러기도 하고 서로 말이 없어 어색할 때도 이런 말로 긴장을 풀기도 하지요. 지나치게 열띤 분위기를 가라앉힐 때도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무엇인가가 막바지에 이르러 숨을 고르고 생각을 가다듬을 시간이 필요할 때야말로 잠시 막간을 이용해야 하는 바로 그 순간입니다.

 

 

오페라 카르멘의 한 장면

 

막간이라는 말은 당연히 막과 막 사이라는 뜻입니다. 지금은 막간에 그저 짧은 휴식시간이 주어질 뿐이지만 옛날에는 연극이나 오페라를 공연할 때 막과 막 사이에 가벼운 여흥이 있었습니다. 그러니 정말로 “막간을 이용해서...” 무엇인가가 있었던 셈이지요. 심지어는 막간에 짧은 촌극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으니 그것이 바로 막간극, 즉 인터메초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18세기 오페라 애호가들을 열광시켰던 오페라 부파가 바로 인터메초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지금도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과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가 대표적인 작품이지요.

 

 

 

 

오페라 부파가 있기 전까지 유럽의 오페라는 모두 천편일률적이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비극이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영웅들의 무용담과 사랑 이야기를 이탈리아어로 된 노래로 그럴듯하게 펼쳐 보이는 것이지요. 발레나 여러 가지 볼거리를 넣다 보니 공연은 한없이 길어졌고 뻔한 이야기의 흐름도 느슨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니 사람들도 점점 지루해할 수밖에 없었지요. 특히 이제 막 오페라 극장에 몰려들기 시작한 중산층과 시민계급들에게는 신화나 역사의 이야기나 이탈리아어 모두가 생소할 따름이었겠지요.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막과 막 사이에 막간극을 넣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오페라와는 달리 막간극은 그 시대의 보통 사람들이 주인공이었고 그들의 일상에서 벌어지는 소박하고 통속적인 이야기들을 빠르고 익살스럽게 풀어나갔습니다. 이야기는 장황한 레치타티보 대신 대사로 처리했고 아리아도 귀에 쏙 들어오는 선율을 얹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관심과 반응이 점점 커져간다 싶더니 결국은 오페라를 공연하는 동안은 시큰둥하다가 막간극을 할 때 사람들이 몰려드는 역전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러니 막간극을 따로 공연으로 만들어 무대에 올린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순서였을 것입니다. 그렇게 전에 없던 오페라가 태어나고 보니 기존의 오페라와 구별해서 불러야 했고 그래서 이전의 오페라를 “오페라 세리아”, 즉 진지한 오페라라고 부르고 새로 등장한 오페라를 “오페라 부파”, 즉 익살스러운 오페라라고 일컫게 된 것입니다. 한마디로 막간을 이용해서 새로운 역사가 탄생한 셈입니다.

 

 

오페라 '마님이 된 하녀' - 강남 대치동 삼성아트홀

 

그렇게 탄생한 오페라 부파의 효시가 된 작품으로 지금도 간혹 무대에 오르고 있는 페르골레지의 “마님이 된 하녀”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아마 제목만 보면 누구라도 이야기의 대강을 다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부유한 독신남이 사는 집에 하녀로 들어간 주인공이 우여곡절 끝에 주인과 결혼하여 마님이 된다는 이야기지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질리지도 않고 좋아라하는 신데렐라 이야기입니다. 지금도 아마 티브이를 틀면 어느 채널에서는 이런 이야기를 드라마로 방영하고 있을 것입니다.

 

인터메초는 막간극이라는 뜻도 있지만 지금은 간주곡이라는 뜻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막과 막 사이가 있을 수 없는 단막 오페라의 경우 이야기의 흐름이 긴장의 극에 치달았을 때 역설적으로 아름다운 간주곡이 흐르면서 폭풍전야와도 같은 묘한 감흥을 이끌어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런 간주곡들을 통 털어 아마도 가장 적절하고 아름다운 경우를 들라면 마스카니니의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간주곡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스카니 오페라-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이탈리아어로 촌뜨기 기사라는 말입니다. 촌놈 주제에 분수도 모르고 기사라도 되는 양 잘난 척한다는 냉소적인 뜻이 담겨 있습니다. 시칠리아의 어느 시골에서 부활절 하루 동안 벌어지는 비극적인 이야기입니다. 새벽 어스름 녘에 군대에서 막 제대한 청년 투리두는 마부 알피오의 아내 로라와 밀회를 즐기고 나와서는 집으로 향하는 길에 사랑의 감정을 시칠리아의 노래인 시칠리아나의 선율에 실어 노래로 부릅니다. 로라는 전에 투리두의 연인이었으나 그가 없는 동안 부유한 마부 알피오와 결혼했고 제대한 뚜리두는 산투차와 약혼한 사이임에도 로라를 잊지 못해 그 주위를 맴돌지요. 부활절 아침이 밝아오자 마을사람들은 그 유명한 합창 “오렌지 꽃은 바람이 날리고”를 부르지만 밤사이에 투리두가 로라에게 간 것을 알아차린 산투차는 망설이고 주저하다 절박한 심정에 투리두의 어머니 루치아를 찾아가 아들의 비밀을 털어놓고 도움을 청합니다. 놀란 루치아는 기도를 하려고 성당으로 향하고 그 사이 투리두가 나타나자 산투차는 투리두에게 애원을 하며 매달립니다. 자신을 매몰차게 뿌리치고 나간 투리두가 심지어는 로라와 말다툼을 벌이는 자신을 심하게 몰아붙이자 더 이상 참을 수가 없게 된 산투차는 결국 로라의 남편 알피오에게 아내의 부정을 폭로하고 맙니다.

 

 

서울시 오페라단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노원종합예술문화회관)

 

바로 이 순간 너무나도 아름다운 간주곡의 선율이 물안개가 피어오르듯 공연장 안을 가득 채우게 됩니다. 앞으로 벌어질 일은 너무나 뻔하고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돌이킬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묵묵히 받아들일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 아름다운 선율은 더욱 슬프고 애절한가 하면 허무하기까지 합니다. 침착하고 교활하기까지 한 알피오는 부활절 미사가 끝나고 사람들이 모여 술을 마시는 곳에 나타나 취기가 오른 투리두의 자존심을 건드려 그가 먼저 자신에게 결투를 청하도록 만듭니다. 누가 봐도 투리두는 알피오의 상대가 되지 않으니 말입니다. 뒤늦게 자신의 경솔함과 잘못을 깨달은 투리두는 어머니 루치아를 찾아가 마지막 포옹을 하며 산투차를 부탁합니다. 그리고는 피할 수 없는 결투에 나서 최후를 맞이하게 되지요.

 

[문화광장] 마스카니-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중 "간주곡'

 

오페라의 흐름 가운데 간주곡이 있고 막간극이 있는 것처럼 우리들 삶에도 늘 인터메초가 있습니다. 주마다 돌아오는 휴일이 그렇고 이제 곧 다가오는 여름휴가는 일 년 가운데 한번 주어지는 인터메초라고 할 수 있겠지요. 누군가는 오페라 부파가 그렇게 만들어졌듯이 그 시간을 이용해서 무엇인가 전에 없는 일을 준비하여 벌이고야 마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간주곡이 그런 것처럼 지나간 시간을 조용히 돌아보며 앞으로 벌어질 일들을 맞이할 마음의 준비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어느 것이 정답일 수는 없겠지만 이 짧은 시간이 우리 삶에 있어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사실은 틀림이 없는 듯합니다. 막간을 이용해서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간주곡을 들려드리겠습니다. 눈을 감고 여러분이 살아왔던 지난날들을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벌어질 어떤 일들도 담담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마음을 가라앉혀 평정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인터메초, 음악이 주는 참다운 휴식의 시간입니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간주곡 Mascagni

2008년 3월 4일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지휘 이우근 / 서울내셔널심포니 오케스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