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건음악회 Talk Talk/홍승찬교수의 클래식 톡톡

지휘의 거장. 마에스트로 카를로스 클라이버 (Carlos Kleiber | Karl Ludwig Kleiber) 그의 음악적 재능을 들여다 보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2. 17.

 

 

 

 

홍승찬 교수의 클래식 음악(40)
[홍승찬 교수의 재미있는 클래식음악 이야기]

 

 

 

출처 : 구글 이미지

 

카를로스 클라이버(이하 카를로스)193073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베를린 국립오페라의 음악감독 에리히 클라이버, 어머니는 유대계 미국인이었던 루스 구드리치였다. 클라이버 본인은 유대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나치 치하에서도 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리히 클라이버가 알반 베르크[보체크]를 초연한 이후 베르크의 [루루]가 나치에게 퇴폐음악으로 분류돼 금지되자, 에리히 클라이버는 베를린 국립 오페라 음악감독직을 사임하며 저항의 의사를 표시했다. 나치와 에리히 클라이버는 불편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카를로스가 태어났을 때 이름은 카를 루드비히 클라이버였지만, 나치와 대립하고 있었던 에리히 클라이버가 1940년 아르헨티나에 망명했고, 스페인어권이었던 그곳에서 자연스럽게 카를로스로 개명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피는 못 속인다 했던가. 카를로스의 음악적 재능은 어릴 적부터 뛰어났다. 9세 때 작곡을 하고 노래를 잘 했으며, 피아노와 팀파니를 연주했다. 아버지인 에리히는 카를로스의 재능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과 같은 길을 걸으면 고생할까봐 아들이 음악인의 길을 걷는 것을 차단하려 했다. 1950년부터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식으로 음악을 배우기 시작한 결국 아버지 에리히 클라이버의 권유로 1952년부터 일단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에 입학해서 화학을 전공했다. 1952년 라 플라타에서 지휘자로 데뷔 무대를 가졌고, 1953년에는 뮌헨 개르트너플라츠 극장에서 월급 없는 연습생 지휘자가 되어 지휘 경험을 쌓았다.

 

 

 

 

24세였던 1954년에는 포츠담에서 카를 밀뢰커의 오페레타 [가스파로네]를 지휘하면서 지휘자로서 데뷔했다. 이때 프로그램북에 실린 카를로스의 이름은 카를 켈러(Karl Keller)였다. 이날 무대에 서기까지는 아버지의 도움이 컸지만, 아버지의 후광을 얻어 지휘한다는 소리를 듣기 싫어서였을 것이다. 에리히는 여기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당시 카를로스에게 보낸 에리히의 전보에는 행운을 빈다. 늙은 켈러로부터라고 씌어 있었다. 에리히는 아들에게 충고를 해주는 한편, 오페라극장 관계자에게 소개를 했고, 공공연하게 아들의 음악활동을 따끔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젊은 카를로스 클라이버

 

 

젊은 카를로스는 지휘자로서의 커리어 초창기부터 연주회 무대에 서는 것을 특별히 좋아하지 않았다. 연주회는 그를 소심하게 만들었다. 그는 매번 자신의 지휘에 도무지 만족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의 마음속에서 들을 수 있는 절대적인 완벽의 사운드, 그에 걸맞은 해석을 이루지 못하면 지휘대 위에 서는 의미가 없다고 그는 생각했을 것이다. 카를로스를 잘 아는 사람들은 이를 아버지 에리히 탓으로 돌린다. 위대한 지휘자를 아버지로 둔 것은 카를로스에게 매우 큰 부담이 됐다. 성격이 무정했던 에리히는 그 표현방식에 문제가 있었다. 좀 더 따스한 부성애를 발휘했다면 카를로스의 인생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지휘의 모든 것을 아는 사람임에도 아들의 지휘에 대해 아버지다운 뒷바라지가 부족했고, 카를로스의 불안정한 성격은 그에 말미암은 바가 적지 않다. 카를로스의 인생에는 아버지의 그림자가 복잡하게 드리워져 있었다.

 

 

 

Carlos Kleiber -Beethoven symphony No.7, Op.92 : mov.4

 

 

 

이후 뒤셀도르프, 취리히, 슈투트가르트 등 오페라를 지휘하던 카를로스는 1968년부터는 바이에른 국립오페라를 자주 지휘하면서 명성을 확립했다. 1973년에는 빈 국립오페라에서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지휘하며 데뷔했고, 19746월에는 런던 코벤트 가든 로열 오페라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장미의 기사], 7월에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트리스탄과 이졸데]로 각각 데뷔했다. 1978년에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해 미국 무대에 데뷔했다. 이 당시 시카고 심포니를 지휘한 실황은 비정규반이지만 골든 멜로드람 레이블에서 발매된 4장으로 구성된 세트(GM 4.0043)에 수록돼 있다. 슈베르트 [교향곡 3], 버터워스의 [영국 목가] 1], 그리고 뜨거운 연주인 베토벤 [교향곡 5]이 담겨 있다. 이후에도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지휘대에 섰던 카를로스는 한 번도 음악감독직에 묶이지 않고 철저하게 프리랜서 지휘자를 고수했다.

 

 

 

 

 

1974년 베토벤 [교향곡 5] 녹음 이후 카를로스는 빈 필과 좋은 관계를 계속 유지했다. 그러나 198212, 카를로스는 베토벤 [교향곡 4] 리허설 도중 견해 차이로 단원과 대립, 정기연주회를 취소해버리고 만다. 그 뒤 6년간 공백 후 19883, 카를로스와 빈 필은 화해하고 다시 연주를 시작했다. 모차르트 [교향곡 36린츠’]와 브람스 [교향곡 2] 등 당시 연주곡은 연습량이 많았음에도 실수가 눈에 띄었지만, 명연주에 넣을 수 있는 수준이었다. 카를로스는 1989년과 1992년 신년음악회 때 빈 필과 만남을 가졌다

 

 

 

2011 Jecheon Intl Music & Film Festival : 마에스트로 - 카를로스 클라이버

 

 

 

카를로스는 단원들에게 음악 해석을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해 자세히 설명하곤 했다. 아버지인 에리히 클라이버와 비슷한 점이었다. 리허설 전에는 반드시 작곡가의 자필 확보를 확인하고 다른 연주자의 녹음을 구해 연주 해석을 확인하고, 아버지 에리히가 사용한 총보를 연구하는 등 그 준비과정이 세심하고 철저했다. 이렇게 치밀한 리허설에 비해 실제로 연주할 때는 발레를 연상시키는 독특하고 우아한 지휘모습으로 청중들, 오케스트라 단원, 협연자들을 매료시켰다. 그 지휘에서는 아찔한 속도감, 살아있는 리듬감, 색채의 강렬함, 서정적인 아름다움 등이 느껴졌다. 분명 천재 지휘자의 모습이었다.

 

 

 

 

 

그 질주하는 젊음으로 인해 카를로스는 항상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는 음악가로 인식됐다. 그러나 그는 제1바이올린과 제2바이올린을 좌우로 마주보게 배치하거나 악보에 수정을 하고 현악기의 보잉을 각 보면대마다 다르게 연주하는 등 제2차세계대전 이전의 방식을 응용했다. 이는 아버지 에리히의 강한 영향 아래 옛 지휘자들의 유파를 이어받았다고 봐도 될 것이다. 지휘자 파트보를 소유하고 그 내용을 적어 사용한 것도 브루노 발터 19세기 대지휘자들의 습성이었다.

 

 

 

 

클라이버는 단원들의 보잉을 모두 계산해서 적어 두었다. 다시 말해 청중들에게는 활을 올려 긋고 내리 긋는 것이 단원들의 자유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기실은 클라이버가 각각의 스트링 파트 보면대마다 서로 다른 보잉을 명시해 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안정되고 정확한 디테일을 끄집어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시카고 심포니에 객원지휘하던 시절 시카고 심포니의 수석 첼리스트 였던 프랭크 밀러는 이에 강력히 반발해서 악보 사서들은 첼로 파트 악보를 그로부터 지켜야 했다고 한다. 걸핏하면 클라이버의 보잉 지시를 삭제하고 과거의 전통적인 방식을 적어놓곤 했기 때문이다. 클라이버는 이 사실을 알고 즉시 시카고를 떠났다고 한다. 그러나 시카고 심포니를 지휘한 모든 객원지휘자들 가운데 시카고 심포니의 악단원들이 가장 두려워하고 존경을 보냈다고 일컬어지는 사람은 카를로스 클라이버였다.

 

 

 

 

1970년 말부터 카를로스는 레퍼토리를 적게 유지하고 리허설 시간을 보통의 배 이상 잡아 연습했으며, 자신의 뜻에 거슬리면 연주를 취소하곤 했다. 이런 악취미가 오히려 카를로스의 희소성을 높이고 인기를 부추기는 역할을 했다. 카를로스의 공연은 늘 대체 지휘자를 마련해놓아야 하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티켓은 항상 매진이었다. 몇 안 되는 녹음은 나오는 족족 명연으로 간주됐다. [장미의 기사]같은 곡은 음반 한 장만으로 만족 못해 해적반을 구하는 등 푸르트뱅글러와 비슷한 컬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카라얀 사후 베를린 필 단원들 중 다수가 후임 음악감독으로 카를로스를 원했지만, 그는 전혀 염두에도 두지 않았던 일이라 거절했다. 인터뷰를 싫어했던 카를로스는 좀처럼 매체에 자신의 의향을 얘기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친했던 번스타인에게는 나는 정원에 있는 야채와 같이 햇빛을 받고, 성장하고, 마시고, 자고 싶을 뿐이다라고 불평했다고 한다.

 

 

 

 

 

카를로스의 신경과민은 유명했다. 지나치게 예민했던 그는 협연자를 잘 주도하지 못했다. 나아가 그는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따르지 않을까 봐 늘 두려워했던 것 같다. 특히 무대에 오르기 바로 전 그의 긴장상태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1970년대, 바이에른 국립오페라를 지휘해 [장미의 기사]를 연주할 때였다. 연주 직전 바이에른 국립오페라의 음악 감독이었던 볼프강 자발리쉬가 카를로스의 대기실을 찾았다. 두 사람은 정중한 인사를 하고 뜨거운 악수를 나누었다. 자발리쉬는 카를로스를 무대 앞까지 배웅해주었다. 그런데 막이 오를 즈음 카를로스는 거의 노이로제 상태가 됐다. 자발리쉬가 괜찮다고 격려하며 등을 떠밀어 억지로 무대 위로 내보냈다고 한다. 1970년대 말 클라이버는 어느 연주회에 앞서 구토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1980년대 후반부터 카를로스의 지휘는 뜸해졌다. 2~3년에 몇 번 정도의 페이스로 지속됐다. 바이에른 국립관현악단과 빈 필, 베를린 필 등 오케스트라도 한정됐다. 카를로스가 어떤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것만으로도 큰 뉴스가 됐고, 연주회 티켓을 구한다 하더라도 그가 지휘대에 설 것인가에 대해서 확실하지 않았지만 많은 팬들이 카를로스의 연주회를 기다렸다.

 

 

 

 

 

한 번은 베를린에서 한 번은 잉골슈타트(뮌헨에서 50킬로미터쯤 떨어진 작은 마을. 자동차 회사 아우디의 본사가 그곳에 있다, 이 때 클라이버는 개런티로 아우디 공장 견학과 승용차를 받았다 한다)에서, 한 번은 유고슬라비아에서, 그리고 빈에서 몇 번 지휘를 했다. 연주 횟수를 줄일수록 그가 벌어들이는 액수는 커져 갔다. 사람들은 카를로스 클라이버의 콘서트를 아주 희귀한 보석들과 동일시했다. 카를로스를 진정한 천재라고 평가한 카라얀은 이에 대해 냉장고가 빌 때에만 지휘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커리어 말기인 1998년과 1999년에 카를로스는 카나리아 제도와 사르데냐 섬에 나타났다. 둘 다 작렬하는 태양과 푸른 바다가 있는 전형적인 유럽 남쪽 지방의 섬이다. 1999년 초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을 지휘한 사르데냐 섬의 주도 칼리아리에서의 콘서트를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클라이버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2004713, 카를로스는 발레리나였던 부인 스탄카 브레조바르가의 고향인 슬로베니아에서 투병 끝에 간암으로 사망했다. 부인을 잃은 지 1년만이어서 카를로스의 자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카를로스 클라이버는 매우 특별한 존재다. 강력하게 몰아붙이는 힘과 깊이있는 해석력, 오케스트라를 자기 몸처럼 완벽하게 장악하는 데에서 오는 유연하고 다이내믹한 지휘력 등등 그의 존재는 매력 그 자체로 다가온다. 그 어떤 지휘자들보다도 강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그의 가장 큰 무기 중의 하나이다. 비인필하모닉을 지휘할 때에는 유연하면서도 강인한 표현력으로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화려한 경력에 비한다면 그가 지금까지 레코딩한 음반의 수는 정말로 너무 적다. 하지만 일단 그가 손을 댄 레파토리들은 대부분 명반의 대열에 있는데, 이것은 그가 그만큼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지휘자 중의 한사람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가장 유명한 베버의 마탄의 사수를 위시해 베토벤의 교향곡 5번 등은 이 분야 레코딩사에 길이 빛날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이외에도 슈트라우스의 박쥐’,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의 드보르자크의 피아노 협주곡’(Angel), 슈베르트의 교향곡 3번과 8, 브람스의 교향곡 4(DG) 등도 빼놓을 수 없는 걸작들이다.

 

 

 

 

 

 

 

 

 

노다메 칸타빌레 주제곡 - 베토벤 교향곡 7번 - 카를로스 클라이버 지휘 -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

 

 

Beethoven Symphony no.7 Carlos Kleiber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1.avi

 

 

Beethoven Symphony no.7 Carlos Kleiber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2.avi

 

 

Beethoven Symphony no.7 Carlos Kleiber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3.avi

 

 

Beethoven Symphony no.7 Carlos Kleiber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4.avi

 

 

 

대 지휘자 에리히 클라이버의 아들이기도 한 카를로스 클라이버는 독일의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인 에리히 클라이버는 워낙 대지휘자였던 관계로 1935년 푸르트벵글러의 힌데미트 사건당시 그가 푸르트벵글러를 지원하고 나서는 바람에 나치로부터 핍박을 받아야 했다. 결국 에리히 클라이버는 히틀러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베를린을 떠나 아들인 카를로스 클라이버와 함께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가야만 했다. 워낙 힘든 역정을 살아왔던 만큼 아버지는 아들 카를로스 클라이버가 지휘자가 되는 것에 탐탁해 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아들이 음악공부를 하는 것조차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그럼에도 카를로스는 스스로의 노력으로 지휘법을 꾸준히 공부하고 많은 음악을 접해 결국 1952년 라프라타에서 음악인으로 데뷔하기에 이른다. 동년 그는 아버지와 함께 유럽으로 갔다. 끝까지 음악을 하는 것에 반대하던 아버지 때문에 결국 그는 아버지의 뜻을 따라 스위스 연방공업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음악에 대한 미련은 계속 남아 결국 1953년 아버지의 반대를 물리치고 뮌헨의 오페레타 극장인 겔트너 프라츠 극장의 무급 견습 지휘자로 지휘 인생을 시작했다.

카를로스의 잠재력을 알아본 베를린 근교 포츠담의 오페레타 극장에선 1954년에 그를 지휘자로 영입하고, 이로 인해 그는 프로 지휘자로서 드디어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어서 그는 1956년부터 1964년까지 뒤셀도르프와 뒤스부르크를 중심으로 라인 도이치 오페라의 지휘자로 오페라를 주로 연주하며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이후부터 그는 여러 오케스트라를 거치며 명성을 다져나가기에 이른다. 1964년의 취리히 오페라 극장을 필두로 1966년의 슈투트가르트 뷔르템베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 등에 이르기까지 주로 오페라 극장의 지휘자로서의 진가를 과시했다. 이미 이때부터 그의 이름은 뛰어난 재능을 지닌 오페라 전문 지휘자로서 세계적으로 그 명성을 다질 수 있었다. 현대음악의 명작으로 평가받는 알반 베르크의 보체크를 비롯하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바그너, 베르디, 비제, 베버 등 여러 작품들을 연주해 많은 박수갈채를 받았다. 특히 보체크의 경우 아버지인 에리히 클라이버가 세계 초연한 작품이라 부자가 나란히 이 작품을 멋지게 지휘해 이 분야의 새로운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높은 평가와 인기 등으로 그는 1968년부터 저 유명한 뮌헨의 바이에른 국립 오페라 극장의 지휘자로 무대에 설 수 있는 영광까지 누리기에 이른다.

 

이후 카를로스 클라이버는 생애 명연 중의 하나로 평가받게 되는 위대한 작업을 하는데 그것이 바로 베버의 마탄의 사수이다.

 

1973년 드레스덴에서 녹음한 이 앨범은 현재까지도 이 작품 사상 최고의 명연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은 카를로스 클라이버의 데뷔작이라는 점이다. 이 작품을 필두로 그의 파워풀하고 장악력있는 지휘봉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엘렉트라’, ‘장미의 기사’,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1973년 빈 국립 오페라 극장과 1974년 바이로이트 음악제 데뷔를 장식-, 비제의 카르멘’, 베르크의 보체크등 여러 명작들을 날카롭게 해석해 연이어 주목을 받았다.

 

그 후에도 카를로스 클라이버는 1976년 밀라노 스칼라 오페라 극장에서 베르디의 오텔로로 오프닝을 장식해 열렬한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1978년 스칼라 오페라 극장 개설 200주년 기념 공연에서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지휘해 감각적으로 깊이있는 연출을 하는 또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외에도 빈 국립 오페라 극장의 오프닝 연주를 한 비제의 카르멘’, 시카고 교향악단과의 베토벤의 교향곡 제5’-이 작품은 그의 미국 데뷔작이기도 하다-, 뮌헨과 스칼라 오페라 극장에서의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와 푸치니의 라 보엠등을 무리없이 지휘해 완벽한 지휘자로서 청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 주었다.

 

 

 

글 : 홍승찬 교수
편집 : 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