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건음악회 Talk Talk/홍승찬교수의 클래식 톡톡

[사랑을 얻고자 노래를 불렀고 사랑을 얻고자 노래를 버린 마리아 칼라스] 세계 최고의 소프라노. 불멸의 디바 마리아 칼라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0. 1.

 

 

 

 

 

 

홍승찬 교수의 클래식 음악(35)
[홍승찬 교수의 재미있는 클래식음악 이야기]

사랑을 얻고자 노래를 불렀고 사랑을 얻고자 노래를 버린 마리아 칼라스

 

 

 

불멸의 디바 마리아 칼라스

 

 

 

 

 

누군가 저에게 역사상 최고의 지휘자 한 사람을 말하라면 선뜻 대답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최고의 피아니시스트가 누구인지 한 사람만 꼽으라고 해도 역시 말문이 막힐 것입니다. 어떻게 그 많은 거장들 가운데 오직 하나만을 골라 최고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최고의 소프라노 가수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주저없이 마리아 칼라스를 꼽을 것입니다. 칼라스는 이전의 어떤 소프라노 가수와도 다르고 이후의 그 누구도 따를 수 없는 경지를 이루었습니다. 그래서 오페라 연출가이자 영화감독인 프랑코 제피렐리는 마리아 칼라스를 추억하며 음악에서 BBefore Christ가 아니라 Before Callas를 뜻한다고 했습니다. 전에는 같은 소프라노라고 해도 소리가 무겁고 어둡거나, 아니면 가볍고 밝은지에 따라 맡을 수 있는 오페라의 배역이 달랐지만 칼라스는 그 어느 것도 가리지 않고 다 소화할 수 있었고 심지어 메조 소프라노가 부르는 영역까지도 섭렵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칼라스가 보여준 가장 큰 차이는 연기력이었고 노래와 연기를 하나로 결합시키는 놀라운 힘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칼라스 이전의 오페라 가수들은 단지 노래를 부를 뿐이었다면 칼라스에 이르러 드디어 노래를 연기하는 소프라노의 탄생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사람들은 칼라스만 들어서는 그 진정한 매력을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다른 가수들의 노래를 먼저 듣고 칼라스가 부르는 같은 노래를 들어야 그 참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고 하지요. 그 만큼 그는 다른 누구와도 전혀 달랐고 그로 말미암아 어떤 소프라노도 가지 못했던 길을 홀로 걸어갔습니다.

 

 


 

그녀는 1938년 15살 때 아테네 가극장에서 데뷔하면서부터 스타가 되었다. 1952년 영국의 코벤트가든 왕립가극장에서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의 주역을 맡아 대성공을 거두어 그녀의 황금 시대를 열었다. 아래에 소개하는 공연 장면은 1959년 파리에서 가진 베르디의 오페라 <일 트로바토레>의 4악장 가운데 한 장면이다.




 

 

 

그러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이 불세출의 소프라노의 어린 시절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과 너무나도 달랐습니다. 마리아 칼라스는 1923122일 미국 뉴욕에서 그리스 이주민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아들을 잃고 그 슬픔에서 벗어나고자 또 다시 아들을 원했던 부모의 간절한 소망을 저버렸기에 그 실망은 고스란히 죄 없이 태어난 새 생명에게로 돌아갔습니다. 또래보다 유난히 덩치가 크고 뚱뚱한데다가 지독한 근시로 두꺼운 안경까지 끼고 있었던 마리아는 늘 천덕꾸러기에다 외톨이었고 어머니의 사랑은 언제나 예쁘고 날씬한 언니의 차지였습니다. 덩치에 어울리게 목소리도 컸던 마리아가 오직 하나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은 노래였습니다. 그걸 알게 되면서 칼라스는 다른 누구도 아닌 오직 어머니의 사랑을 얻고자 노래를 부르고 또 불렀습니다.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무대에서의 삶을 꿈꾸었으나 부모의 반대로 이루지 못했던 어머니는 뒤늦게 어린 딸의 재능을 발견하고 기대를 갖게 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것은 딸의 행복을 위해서가 아니라 딸의 성공을 통한 대리만족이었습니다.

 

 

 

 

마리아 칼라스 (Maria Callas, 1923. 12. 2 ~ 1977. 9. 16.)

 

아버지의 약국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게 되자 이혼한 어머니는 두 딸을 데리고 그리스로 돌아갔고 마리아는 아테네 국립 음악원에 입학하여 성악을 공부하게 됩니다. 거기서 스페인의 성악가 엘비라 데 이달고를 만나 성악의 기초를 닦고 실력을 쌓아가지만 그리스의 정국이 혼란으로 치닫게 되자 1945년 아버지가 있는 미국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해 겨울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오디션에 응모했지만 탈락하는 아픔을 겪게 되고 겨우 힘들게 맺은 출연계약마저 기획사가 도산하는 바람에 물거품이 되어버립니다. 그러나 같은 기획사 소속의 베이스 가수 레메니의 소개로 1947년 베로나의 아레나에서 라 지오콘다에 출연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어 유럽으로 돌아왔고 그것이 마리아 칼라스의 공식적인 데뷔 무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무렵 이탈리아의 부유한 사업가 지오반니 바티스타 메네기니를 만나게 되는데 그것이 칼라스의 인생에서 가장 큰 행운이었습니다. 진정으로 칼라스를 사랑했던 그는 스스로 매니저를 자처하면서 그의 모든 것을 칼라스에게 바쳤습니다. 두 사람은 동거를 거쳐 마침내 결혼에 이르렀고 메네기니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말미암아 칼라스는 노래에만 전념하게 되어 역사상 최고의 소프라노로 등극하게 됩니다.

 

 

영원한 불멸의 디바 - 2007년, 스크린에 부활하다!


역사상 최고의 디바로 꼽히는 마리아 칼라스(화니 아르당 분)가 그녀의 공연 기획자 친구인 래리(제레미 아이언스 분)의 설득으로 은둔 생활을 접고 오페라 '카르멘'을 영화로 만들게 된다는 흥미로운 가상 이야기를 다루는 음악드라마.

 

 

 

라트라비아타, 슬픈 비극의 마지막 장면을 노래하는 마리아(1953년)

 

 

 

지난 날이여 안녕!을 노래하는 마리아(1953년 라 스칼라)

 

1956년 라 스칼라 - 라 트라비아타의 명연주(실황녹음)

 

 

 

Ah, perfido! - 1976년 3월 파리 엘리제 궁 극장에서 마지막 연주(실황)

 

 

 

영원히 살아 있는 마리아의 노래와 말을 들어보자!

1) Norma (studio, 1949)

2) Il Trovatore (Mexico City, 1950)
3) Puritani (Mexico City, 1951)
4) Macbeth (Milan, 1952)
5) La Traviata (studio, 1953)
6) Lucia di Lammermoor (Milan, 1954)
7) Andrea Chénier (Milan, 1955)
8) La Vestale (Milan, 1956)
9) Anna Bolena (Milan, 1957)
10) Medea (Dallas, 1958)
11) Il Pirata (New York, 1959)
12) Poliuto (Milan, 1960)
13) Samson et Dalila (studio, 1961)
14) Tosca (studio, 1965)

 

 

 

베로나에서 데뷔한 이후 대역으로 나선 벨리니의 오페라 청교도에서 엘비라를 열연하여 오페라의 여신이란 극찬을 받았고 마침내 세계 최고의 오페라 극장이라는 라 스칼라에서 베르디의 아이다를 불러 정상에 우뚝 섰습니다. 칼라스는 당대의 프리마 돈나 레나타 테발디를 대신하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이후 스칼라 극장과 멀어지게 된 테발디와는 늘 라이벌 관계로 일컬어지게 되었습니다. 테발디를 넘어 자신의 시대를 활짝 연 칼라스는 코벤트 가든과 메트로폴리탄을 비롯한 세계 정상의 오페라 극장을 하나씩 정복하면서 전성기를 구가합니다. 그리고 어느날 90킬로그램이 넘었던 체중을 28킬로그램이나 줄여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고 지나친 감량에도 불구하고 소리의 힘을 잃지 않아 또 다시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렇듯 남달리 강한 의지를 가졌지만 동시에 지나치게 감정의 기복이 심했던 칼라스는 사소한 문제로 사람들과 부딪혀 쓸 데 없는 불화와 말썽을 일으키기도 하고 심지어는 돌연 출연을 취소하여 비난과 빈축을 사기고 했지만 그 때마다 메네기니가 나서 사태를 수습하고 전화위복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메네기니의 이러한 헌신적인 사랑도 칼라스의 비극적인 운명을 바꿔놓지 못했습니다. 역사상 그 누구도 누리지 못했던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을 때 그리스의 선박왕 오나시스가 칼라스에게 접근했고 사랑에 눈이 먼 칼라스는 메네기니는 물론 오페라와 노래까지도 던져 버렸죠. 메네기니가 칼라스에게 그랬던 것처럼 칼라스 또한 자신의 모든 것을 오나시스에게 걸었지만 희대의 카사노바였던 오나시스의 관심은 이미 케네디 대통령의 부인인 재클린에게 가 있었고 케네디가 비명에 세상을 떠나자 끈질기고 노골적인 구애 끝에 마침내 세기의 결혼식을 올리게 됩니다. 재클린과 신혼여행을 가서도 칼라스에게 전화를 걸 만큼 비열했던 오나시스를 포기하지 못했던 칼라스는 자기에게 돌아와 달라고 애원했습니다. 그토록 원하던 아이를 가졌으나 오나시스의 변심으로 유산을 하였고 그 충격으로 자살까지 시도하였습니다. 겨우 몸과 마음을 추스려 영화 메데아에 출연하였고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지만 이미 허물어져버린 심신은 돌이킬 수가 없었습니다. 딸의 치료비를 마련하겠다는 당대의 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의 간절한 청을 거절하지 못하고 함께 나선 세계 순회공연은 칼라스를 아끼는 많은 사람들을 안타깝게 만들 만큼 초라하였습니다. 결국 이 무대를 끝으로 더 이상의 기력을 잃은 칼라스는 파리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끝에 1977916일 약물과용과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에게 기자들이 칼라스와 테발디를 비교해 달라고 하자 그는 칼라스는 여자이지만 테발디는 아니다라는 대답을 했다고 합니다.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았던 테발디는 딸을 업고 하루도 빠짐없이 먼 길을 치료받으러 다녔던 어머니의 극진한 사랑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태어나면서부터 미운 오리새끼였던 칼라스는 어머니의 사랑에 목말라 노래로 그 사랑을 얻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어쩐 일인지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란 테발디의 노래와 연기는 너무나 절제되어 있어 고상하기만 할 뿐입니다. 그와는 반대로 사랑에 굶주렸던 칼라스의 노래는 구구절절 사랑으로 넘쳐납니다. 이미 가진 사람은 절실하지가 않겠지요. 그래서 아마도 궁핍이 예술을 낳는다고 하는 것이겠지요. 가지지 못해 너무나 안타까운 마음이 애닲은 노래를 낳았을 겁니다. 그러고 보니 칼라스만이 부를 수 있다는 벨리니의 노르마는 배신당한 사랑의 아픔을 노래하고 있고 역시 누구도 따를 수 없다는 도니제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도 이루지 못한 사랑의 절망으로 미쳐버린 여인의 심정을 노래하고 있군요.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가운데 토스카가 부르는 아리아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를 들으며 노래와 사랑이 삶의 전부였기에 사랑으로 노래를 부르고 노래로 사랑을 얻으려고 했던 한 여인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마리아 칼라스의 아베마리아

 

 

 

글 : 홍승찬 교수
편집 : 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