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찬 교수의 클래식 음악 이야기] 삶이란?
사람들은 자꾸 젊게 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몸은 물론이고 마음까지도 말입니다. 다들 그러니 이제 늙은이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없어서 그런 게 아니라 숨어서 보이지 않습니다. 젊음만 좋다고 하니 젊은 척이라도 해야 하는 모양입니다. 젊어서 젊게 살지 못해 나이 들어 뒤늦게 젊음을 찾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래저래 젊음만 쫓다 보니 아무도 늙은이가 해야 할 일을 하려 들지 않습니다. 찾은 것, 가진 것, 누린 것들을 나누고 베풀고 물려줘야 하거늘 아직도 더 얻고자 더 힘쓰고 더 다그쳐서 더 나아가려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가족은 물론 나라와 지구까지도 두루 평안해지리라 믿습니다.
출처 : https://1boon.kakao.com/ppss/58998923e787d00001489f6b
사람 사는 세상도 자연의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구성원들이 나름의 자리를 지켜서 주어진 역할을 제대로 할 때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건강하게 공존하여 유지될 수 있습니다. 지금의 세태는 마치 초식 동물이 육식을 하겠다고 나서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고기의 육즙만 생각하다 보니 사냥의 처절함은 안중에도 없나 봅니다. 이처럼 모두가 고기만 먹으려 들면 육식동물만 득실거려 서로 물어뜯어야 한다는 사실조차 잊었나 봅니다. 사냥은 힘들고 번거로우니 남이 잡은 먹잇감만 가로채려는 약삭빠른 가짜 젊은이들이 판치는 세상입니다.
"나이를 먹는 것도 기술이 필요하다." 프랑스의 작가 앙드레 모루아의 말입니다. 기술이 그저 얻어질 리가 없지요. 날마다 갈고 닦아야 합니다. 나이 먹음에 익숙해져야 하고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역할과 처신에도 적응해야 합니다. 나이에 맞는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늘 생각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나이가 벼슬이 아닌 다음에야 자랑할 일도 아닙니다. 그렇다고 부끄러워서 숨겨야 할 일은 더더욱 아니지요. 언제나 그랬듯이 나의 참 모습을 찾아서 있는 그대로 담담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제서야 망설이는 일이 많이 줄었습니다. 무슨 일을 벌이면 어떻게 될지 알아서 그런 게 아니라 어차피 알 수 없으니 그럴 필요가 없다는 걸 깨달은 겁니다. 어릴 땐 몰라서 답답했는데 나이 드니 정말로 그게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한 때는 안답시고 온 데 다 끼어들며 참견하고 돌아다녔지만 지금은 한 눈 팔지 말고 그저 내 앞에 주어진 일만 하나씩 차근차근 힘 닿는 데까지 해야지 다짐합니다. 그것 말고 달리 할 일도 없는 데다가 그것만으로도 나날이 벅차고 힘겹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YhDA61r5WM
그럴 듯한 무언가를 찾는다며 알지도 못할 그 끝을 이리 재고 저리 따지느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세월이 얼마인지 모릅니다. 그러다 겉만 번지르르한 입발림에 솔깃해서 허튼 짓 하느라 허둥대던 나날도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 그래서 아쉽거나 안타깝다는 것이 아니라 그 때는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고 지금이라고 크게 다를 리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자꾸 하다 보면 조금은 나아지겠지 믿으며 느긋한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서두르지 않지만 주저하지도 않습니다. 그저 잔잔하고 담담합니다. 언제까지나 이대로일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지금 이 순간만큼은 자유롭고 평화롭습니다. 그 다음은 그 누구도 알 수가 없으니 이 보다 더 좋을 수는 없습니다.
사노라면 늘 그땐 왜 미처 몰랐는지 아쉬워하기 마련입니다. 바로 엊그제 일도 그렇지만 한참을 지난 일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옛일이 점점 또렷해지고 날이 갈수록 회한도 더더욱 깊어만 갑니다. 이제는 같은 일을 두번 다시 만날 수 없겠거니 짐작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누구나 옛일을 날마다 되새기지는 않습니다. 어쩌다 문득이면 몰라도 아픈 기억을 붙들어 하나하나 곱씹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흐뭇한 일이 아니라 안타까운 일이니 그렇고 내 잘못에서 비롯되었다면 더욱 더 그렇습니다. 깨달았으면 무엇이 어떻게 잘못되었는지를 찾아서 남기고 알려야 합니다. 스스로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마음이 먼저겠지만 누구라도 그런 일을 만나면 슬기롭게 풀어갈 수 있도록 어떻게든 도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만이 지난 시간을 되돌아봅니다. 잘못을 깨달아 고치려는 것도 사람뿐입니다. 그걸 오래 남기고 널리 알려서 문화가 되었고 문명으로 꽃피었습니다.
출처 : http://dasforyou.tistory.com/entry/%EC%9D%B8%EC%97%B0%EC%97%90%EB%8A%94-%EC%9A%B0%EC%97%B0%EC%9D%B4%EB%9E%80-%EC%97%86%EB%8B%A4
나이 들어 홀가분하다는 것은 어떻게든 짊어지려고 했던 그 많던 인연들을 하나씩 줄여서 점점 가벼워진다는 뜻입니다.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인연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내가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지 않는 인연부터 내려놓습니다. 그렇게 멀어진 인연을 누군가 물으면 한때는 알았으나 지금은 잊었노라고 말해야겠지요. 잊고 싶어 그리 한 것이 아니라 잊어야겠기에 그리 했노라고 말할 겁니다. 나이 들어 철이 든다는 것은 내키지 않아도 해야 할 일은 미루지 않는 것입니다. 내일이 없어 오늘을 서두르는 조바심아 아니라 하나라도 덜어 가뿐 하려는 느긋함입니다.
영화 "인턴"에서 로버트 드 니로는 일흔이 넘은 나이에 시니어 인턴에 지원하면서 "음악가에게는 은퇴가 없어요. 음악이 사라지면 멈출 뿐이죠. 그런데 내 안엔 아직 음악이 남아 있어요."라고 말합니다. 남아 있는 그 음악이 고이면 어디로 흐를까요? "여행자의 책"을 쓴 폴 서루는 "관광객은 자신이 지금 어디 있는지를 모르지만 여행자는 어디로 갈지를 모른다."고 했습니다. 여행이 그런 것처럼 음악이 그렇고 인생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이백이 이르기를 "달은 발이 없어도 구름 위를 거닐고 바람은 손이 없어도 나무 가지를 흔든다."고 했습니다. 내 안에 남은 음악이 나를 또 어디론가 이끌고 있습니다. 정처 없는 발걸음을 달에 얹고 바람에 실어 덧없는 세월에 흘려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