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톡톡/심심타파!

[전시소개]윤명로 : 정신의 흔적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6. 13.

지난 번 회사 달력을 통해 소개했었는데,

얼마 전 윤명로 화백님의 '정신의 흔적' 전시를 보고 와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그림일기 : 정기용 건축 아카이브.... 이것도 궁금합니다.

기회가 되면 블로그에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전시소개

한국현대미술의 역사를 정립하고,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작가의 작품세계를 조망하기 위해 준비된 '국립현대미술관 원로작가 회고전' 시리즈의 일환으로 전시중입니다.

내일은 작가, 평론가의 만남도 있는데... 가고 싶지만...

 

 

작품을 찍을 수 없어서 전시장 입구 사진만 남기게 됩니다. 

영문(YOUN MYEUNG-RO TRACE OF THE SPIRIT)은 수직으로 세워서 그림자로 보이게 하였습니다.

입구에 청소년을 위한 워크북이 있어서 미술 감상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실은 청소년워크북이 제게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윤명로 화백님의 작품은 10년 단위로 변화가 있었습니다.

대표 작품으로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950년대 말 ~ 1960년대 : 벽, 원죄, 문신

1970년대 : 자(Ruler)와 균열

1980년대 : 얼레짓

1990년대 : 익명의 땅

2000년대 : 겸재예찬

워크북의 부제를 따라가 봅니다.

 

1950년대 말 ~ 1960년대 : 그림에 새겨진 존재의 흔적

먼저 초기 제8회 국선 특선작입니다.

 

<벽B, 1959>

샤르트르의 소설 '벽'이라는 소설을 통해 받은 영감으로 그려진 작품입니다.

윤명로 화백님의 작가노트에서도

"... 동족상쟁의 비극적인 잔해가 아직도 흰 눈으로 덮여 있던 무렵 주위의 반대를 뿌리치고 미술대학에 입학한다. 실존주의가 썰물처럼 대학가를 휩쓸고 지나갔다. 졸업을 앞두고 처음이자 마지막이 된 국전에서 '벽B'로 특선을 한다. 샤르트르(Jean-paul Sartre)의 소설, '벽'에 등장하는 사형수가 주인공이다. 절망과 부조리의 극한 상황을 휴머니즘이라 했다." <작가노트 中 에서>

샤르트르는 "인생은 B(birth)와 D(death)사이의 C(choice)이다."라고 말합니다.

절망과 부조리에서 인간다움은 인간의 의지가 담긴 선택인 것입니다.

전쟁을 겪고 여전히 혼란스런 사회에서 그려진 작품이라 하겠습니다.

 

1970년대 : 균열, 의미와 표현의 사이에서

" 이 시기에 나는 자(Ruler)를 주제로 작품을 제작한다. 자는 인간과 인간의 약속이고 규범이다. 그런데 세계는 룰러=통치자들에 의해서 규범이나 약속이 붕괴도고 있었다. 나는 짐짓 갈라지고 녹아내린 자의 흔적들을 바라보며 자유를 갈망한다. 

자의 형태는 사라지고 우연성과 부조리의 경계에서 균열만을 남겼다. 갈라지고 터진 흔적들은 의미 없는 추상이 되었다." <작가노트 中 에서>

 

1980년대 : 마음속에 그려지는 자연의 바람

"이후 나는 화폭 위에 무작위로 선을 그어대며 그 흔적들을 얼레짓이라 불렀다. 얼레를 감고 푸는 짓거리처럼 마음을 감고 푸는 몸짓의 흔적들로 비우고 채워 나갔다."  <작가노트 中 에서>

얼레짓은 우연과 작가의 반복적인 표현방법의 결합으로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우연과 작가의 흔적이라... 일본의 생물학자 자크노모의 '우연과 필연'라는 책 제목이 생각나네요. 예술에서도 통용되는가 봅니다.

 

1990년대 : 끝없이 펼쳐지는 이름 없는 땅

"1991년 개인전을 앞두고 부강에서 토끼를 사육했던 텅 빈 창고 하나를 빌렸다. 태어나서 처음 만난 높고 넓은 사육장이었다. 가없는 대지나 바닷가처럼 느껴졌다. 나는 이 시기의 작품들을 '익명의 땅'이라 불렀다. 자아가 통제 받지 않는 익명성, 얼마나 자유로운가. 가없는 화폭 안에서 나는 모처럼 무한을 숨쉬고 있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는 뒤늦게 평면성을 회화의 본질이라 했지만 일직이 공자는 회사후소(會事後素)라 했다. 그러나 나는 평면 속에서 공간의 깊이를 보았다." <작가노트 中 에서>

익명의 땅은 매우 역동적이며, 작품의 크기도 매우 큽니다.

 

크기가 248.5 x 333 x (4) cm 이니까 약 2.5m x 13.3m 입니다.

평면에서 공간의 깊이를 본다는 것... 그것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직접 보고 느끼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2000년대 : 화폭에 둘러싸인 고요함, 그리고 명상

" '여보게 우리 것을 세계화 하려면 지역성이 보편성을 띠어야 하네' 세계화의 중심인 뉴욕에서 고독한 삶을 마감하셨던 수화 김환기 선생님의 말씀이 새삼 떠올랐다. 나는 미래의 기억들을 위해 늘 열려진 상태로 자리 잡고 있는 표상들 가운데서 겸재의 '인왕재색도'와 능호관의 '설송도', 추사의 '세한도'를 좋아한다. '겸재예찬' 연작은 세계화라는 이름으로 분별없이 정체성을 잃어 가고 있는 젊은 세대들을 향한 화두였다." <작가노트 中 에서>

얼마 전 Naver에서 김환기 선생님의 탄생 100주년 기념으로 온라인 전시가 있었는데 기억하실런지요.

" 나는 회사후소에 갇혀 수세기 동안 관념 산수를 답습했던 화론들을 해체하고 싶었다. 안료나 수묵 대신에 철분을 사용했다. 쇳가루는 안료가 아니라 입자여서 개칠할 수 없는 묘한 긴장감이 뒤따랐다. 철분은 습도에 쉽게 녹슬어 버리는 단점도 있었다. 쇳가루가 공기를 갉아 먹으며 서서히 철화백자처럼 환원 되었다." <작가노트 中 에서>

회사에 전시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 내 그림은 랜덤(random)이다. 랜덤이란 더 내면적인 공간으로 접근하려는 숨결이다. 마음대로 형성되는 무질서가 아니라 충분한 사고 끝에 나타나는 정신의 흔적들이다." <작가노트 中 에서>

" 예술가란 모방을 허락받지 못하고 태어난 고독한 존재들이다. 피카소는 일직이 훌륭한 예술가는 모방하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고 했다. 그러나 피카소는 분명 예술은 모방이 끝날 때 시작한다고 말하고 싶었으리라." <작가노트 中 에서>

윤명로 작가님의 작품은 10년 단위로 변화해 왔지만 처음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자유함을 향한 갈망"이라 생각됩니다.

벽, 원죄, 자(Ruler)와 균열, 얼레짓, 익명의 땅 그리고 겸재예찬... 작품의 내용에서부터 그 작품을 표현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자유를 갈망하는 정신의 흔적이란 생각이 듭니다.